자격소개
손해평가사란, 농업재해보험의 손해평가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자로서 농어업재해보험법에 따라 신설되는 국가자격인 국가전문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합니다.
- 응시자격: 학력, 성별, 연령, 경력, 국적 등의 제한이 없습니다.
손해평가
농작물재해보험의 보험금 지급을 위해 농작물 등 보험목적물에 발생한 피해사실을 확인하고 보험가액 및 손해액 등을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합니다.
시험구성
- 합격기준: 각 과목 40점 이상, 평균 60점 이상 득점
- 출제방식: 1차(객관식 4지 택일형), 2차(주관식 서술형)
구분 | 과목 | 문항수 | 출제방식 | 합격기준 |
---|---|---|---|---|
1차 | 상법 보험편 | 과목당 25문항, 총 75문항 (시험시간: 90분) |
객관식 4지 택일형 | 각 과목 40점 이상, 평균 60점 이상 득점 |
농어업재해보험법령 | ||||
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 | ||||
2차 | 농작물재해보험 및 가축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| 과목당 10문항 (시험시간: 120분) |
주관식 서술형 | 각 과목 40점 이상, 평균 60점 이상 득점 |
농작물재해보험 및 가축재해보험 손해평가의 이론과 실무 |
수험전략
- 초반 3개월 동안은 2차 시험을 준비하는데 집중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
- 학습 초기에는 강의를 수강하면서 2차 과목의 전반적인 사항을 정리하는데 집중합니다.
- 난이도가 높은 시험인 만큼 기본 개념부터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생소한 용어는 개인 노트에 별도로 정리하여 반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.
- 2차 시험과목 내용을 얼추 정리한 후부터는 1차 시험과목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1차 3과목 [농학개론 중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]의 경우 암기해야 할 내용이 많으므로, 별도 노트를 만들며 외우거나 주요 내용은 포스트잇에 따로 정리하여 암기하는 것이 좋습니다.
활용분야
금융회사, 보험회사 취업 시 활용 가능
"지역 농협, 농산물생산 관련 단체조합, 농산물 품질 개발 업체 취업 시 활용 가능
지자체환경 농산물 관리, 농산물 개발업체 연수기관 진출 가능
나이, 성별과 무관하게 손해평가사협회, 재해보험협회 등에서 프리랜서 활동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