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격소개
빅데이터분석기사는 빅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제정된 제도 를 말합니다.
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 취득 후 분석 방법 기획, 자료 수집, 분석결과 시각화, 분석 결과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- 응시자격: 대학졸업자 및 졸업예정자(전공무관), 3년제 전문대학 졸업 후 1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, 2년제 전문대학 졸업 후 2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,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,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이수예정자,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1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,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2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,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 직장경력이 있는 사람
시험일정 및 유효기간
2025 빅데이터분석기사 10회 필기 4/5(토), 실기 6/21(토), 11회 필기 9/6(토), 실기 11/29(토)에 진행됩니다.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은 유효기간이 따로 없으며, 갱신 절차도 없기 때문에 평생 유효합니다.
시험구성
- 합격기준 - 필기: 매과목 100점 만점으로 과목당 40점 이상이고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
- 출제방식 - 필기검정방법: 객관식
- 실기: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
- 실기검정방법: 통합형(필답형, 작업형)
구분 | 과목 | 문항수 | 출제형태 | 합격기준 |
---|---|---|---|---|
필기시험 | 빅데이터 분석기획
빅데이터 탐색 빅데이터 모델링 빅데이터 결과 해석 | 총 80문항 (과목당 20문항) |
객관식_120분 | 각 과목 40점 이상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 |
실기시험 | 빅데이터 분석실무(데이터 수집 작업, 데이터 전처리 작업, 데이터 모형 구축 작업, 데이터 모형 평가 작업) |
단답형 10문항, 작업형 3문항 | 통합형(필답형, 작업형)_180분 | 100점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|
수험전략
- 빅데이터분석기사 시험 과목의 중요성과 출제경향을 파악하고, 우선순위를 정하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를 위해 기출문제나 모의고사를 통해 출제 빈도가 높은 주제를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기출문제는 시험 경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, 기출문제를 여러번 풀어보면 좀 더 효율적으로 실전시험에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.
- 이론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실제 데이터를 다루는 경험도 중요합니다. 다양한 데이터 분석 툴과 프로그래밍 언어(파이썬, R 등)를 활용하여 실습하면서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.
- Kaggle과 같은 플랫폼에서 데이터 분석 대회에 참여하면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으며, 다른 사람들의 분석 방법을 배우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.
- 부족한 부분은 스터디 그룹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면서 함께 공부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
※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줄 수 있고 효율적으로 실제시험을 준비하게 할 수 있는 강의, 본인에게 맞는 언어(파이썬, R 등) 분석 도구, 핵심 요약 교재, 스터디 그룹을 활용 하여 효과적으로 시험을 준비합니다.
활용분야
취업 시 활용
- 빅데이터 관리 부서나 마케팅 부서, 인터넷 포털업체 및 데이터분석 업체 진출 가능
- 정보통신 시스템 통합업체나 시스템 개발업체 진출 가능
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, 보수, 승진, 전보, 신분보장 등에 있어 우대
6급 이하 기술직공무원 채용 시 가산점 부여,
해당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·9급,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·7급,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
모두 5%의 가산점이 부여